SK하이닉스, HBM 경쟁력으로 글로벌 4위 예상
삼성전자가 지난해 반도체 공급사 매출 1위 자리를 다시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며 글로벌 4위로 올라설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전년 대비 18.1% 감소한 6,260억 달러로 전망됐다. 반면 상위 25개 반도체 공급업체의 총 매출은 전년 대비 21.1% 증가해, 이들의 시장 점유율은 2023년 75.3%에서 2024년 77.2%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1년 만에 세계 1위 탈환
삼성전자는 2023년 인텔에 내줬던 세계 1위 자리를 다시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예상 반도체 매출은 전년 대비 62.5% 증가한 665억 달러로, 가트너는 "메모리 제품 매출 반등과 함께 5년간 연평균 4.9%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글로벌 시장의 주요 변화
인텔의 지난해 반도체 매출은 0.15% 증가한 492억 달러로, 세계 2위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인텔은 실적 부진과 대규모 감원, 투자 축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면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수요 급증에 힘입어 3위로 올라서며, 매출이 83.6% 증가한 460억 달러로 예상됐다.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에서의 선전을 바탕으로 전년 대비 86% 증가한 428억 달러를 기록하며 글로벌 4위에 오를 전망이다. 지난 23일 발표된 실적에서는 매출이 102% 증가한 66조 1,930억 원으로,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TSMC 제외, 메모리 성장 주목
이번 조사에서 TSMC는 반도체 위탁생산만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로 제외됐다. 하지만 TSMC의 지난해 매출은 약 886억 달러로 집계돼, 사실상 세계 반도체 매출 1위를 기록했다.
가트너는 "메모리 반도체 매출이 전년 대비 71.8% 증가하며 비메모리 성장률(6.9%)을 크게 웃돌았다"고 밝혔다. 특히 데이터센터용 그래픽처리장치(GPU)와 AI 프로세서는 시장의 하이라이트로 주목받았다.
'News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필수! Outlook 일정 스마트 관리법 (0) | 2025.02.09 |
---|---|
M365 정보 권한 관리(IRM) 오류? 10분 만에 해결하는 실전 가이드 (1) | 2025.01.30 |
Microsoft 365 Outlook 동기화 문제? 원인과 해결 방법 총정리 (0) | 2025.01.30 |
Microsoft 365 Outlook 일정 공유 설정법, 한 번에 끝내는 가이드 (0) | 2025.01.30 |
미국, 인공지능 반도체 수출 통제 강화... 글로벌 기술 경쟁 격화 (1) | 2025.01.15 |
Outlook Web에서 이메일 회신하는 방법 (0) | 2025.01.14 |
Outlook PST 파일 연결하는 방법 (0) | 2025.01.14 |
Outlook 동기화 충돌 폴더 관리 방법 (0)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