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CwNoB/btsJuUourgU/JNG3ybKa3WKNZtgKHe3rm1/img.png)
전 세계에서 매년 발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2020년 기준 5,200만 톤에 달하며 그중 57%가 무단 소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영국 리즈대 코스타스 벨리스 교수 연구팀은 전 세계 5만여 개 도시의 폐기물 관리 시스템과 물질 흐름 데이터를 분석해 국가별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을 조사했다.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는 생태계와 인간 건강에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특히 무단 소각으로 인한 유해 물질이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 결과 전 세계적으로 연간 5,210만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배출됐다.
이 중 2,990만 톤인 57%은 환경 규제 없이 소각되고 나머지 43%는 그대로 자연에 버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s://blog.kakaocdn.net/dn/bn9a8d/btsJvdOVX1r/MhpUHAvq2tmNf0oLnjebm0/img.png)
소각된 플라스틱에서 방출되는 유해 물질은 신경 발달 저해, 생식 문제, 선천적 결함 등 인간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플라스틱 무단 소각이 주목받지 못한 문제였지만 이 연구가 소각의 심각성을 부각했다고 강조했다.
영국 리즈대 코스타스 벨리스 교수 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 원인은 북반구 선진국에서는 주로 쓰레기 투기로 인한 것이다.
남반구 저개발국에서는 관리 시스템의 미비로 쓰레기가 수거되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https://blog.kakaocdn.net/dn/PIBSm/btsJvQ6Km08/n92haYcMOl5B5enOpUS26K/img.png)
발생량도 남아시아,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저개발국에 집중되어 있으며, 인도가 세계 최대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국으로 전체 배출량의 18%에 해당하는 930만 톤을 배출했다고 밝혔다.
그다음으로는 나이지리아(350만 톤), 인도네시아(340만 톤)가 주요 배출국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과거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국으로 1위로 지목되었지만, 최근 몇 년간 쓰레기 수거 및 처리 시스템이 개선되면서 280만 톤으로 배출량이 감소해 4위로 내려 앉았다.
이 외에도 파키스탄(260만 톤), 방글라데시(170만 톤), 러시아(170만 톤), 브라질(140만 톤), 태국(100만 톤), 콩고민주공화국(100만 톤) 등이 주요 배출국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이 현재 플라스틱 오염 수준은 낮지만 1인당 배출량이 매우 높다고 경고했다.
폐기물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향후 수십 년 내 이 지역이 세계 최대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 지역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연구팀은 플라스틱 오염의 성격과 원인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한 이번 연구가 각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실현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여, 플라스틱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이스라엘-레바논 전쟁 휴전 촉구 (6) | 2024.09.27 |
---|---|
[글샘일보] 9월 4주차 뉴스기사 목록 (1) | 2024.09.23 |
[글샘일보] 9월 1~3주차 뉴스기사 목록 (11) | 2024.09.23 |
추석 연휴 동안 대형 병원 응급실 본인부담금이 90%로 인상 (1) | 2024.09.13 |
"의료대란에 경증 환자 사망 급증... 근본 대책 필요" (1) | 2024.09.11 |
이런 음식은 피해야... 당뇨와 GI지수 (2) | 2024.09.09 |
의료 대란에 2시간 만에 진료...'베트남 무차별 폭행' 의식 잃은 유튜버 (2) | 2024.09.09 |
인천 전기차 화재 때문?..."벤츠 판매량 43% 감소, 기아차 판매 58.7% 증가" (1) | 2024.09.09 |